모든 호 보기

[100호]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표지 이야기_높지도 낮지도 않게


높지도 낮지도 않게 세상을 건너는 저 홀씨들처럼

가볍게 날아올라 어두운 세상 건널 수 있기를

그리하여 이 땅 어딘가에 뿌리를 내리고 환한 꽃을 피우기를

 

엮은이의 말_깨알들의 행진


올해 초 독일의 한 고등학생이 SNS에 올린 글이 화제가 되었답니다. “나는 곧 18세가 된다하지만 세금집세보험 등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그러나 시를 분석하는 데는 능하다그것도 4개국 언어로….” 이 짧은 문장으로 교육부장관과 각계 전문가들의 치열한 토론회가 벌어지며 독일 사회 전체가 들썩인다는 뉴스를 보고 놀랐는데최근 들려온 소식은 더 놀랍습니다불과 몇 개월 사이에 그 의견을 수렴해 11월부터 100개 학교에서 학생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지식을 배우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이 생겼답니다.

꼭두각시처럼 살지 않겠다며 고등학교를 뛰쳐나온 김다운이란 학생이 여러분의 학교에 배움이 있습니까” 하는 피켓을 들고 몇 달째 1인 시위를 해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한국의 현실에선그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 감수성이 부러울 따름입니다그러나 한편긴 시간 동안 다운이 같은 사람들이 헤치고 걸어온 한 걸음 한 걸음이 모여 오늘의 우리를 있게 하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돌이켜보면 1999년 창간 이후새로운 교육을 열망한 민들레의 행보는 거대한 학교체제를 포함해 인간을 억압하는 그 모든 것들과의 싸움이 아니었나 싶습니다행복한 배움을 되찾기 위한 노력은 탈학교와 같은 체제에 대한 저항에서간디의 스와라지처럼 스스로 대안적인 삶을 만들어가는 자기 변화의 길과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들레 100호 특집에서는 그런 깨알 같은 실천들하지만 전환의 단초가 될 소중한 노력들을 모아보았습니다가까운 이웃들과 육아돌봄배움일자리 같은 삶의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사례부터묵묵히 자기 발밑에서부터 변화를 만들어가는 개인의 이야기들도 담았습니다.

말은 쉽지만 행동은 쉽지 않습니다먼 데서 찾지 않고다른 누군가가 가져다주기를 기다리지 않고지금 여기서 주체적으로 자기 삶을 바꿔가는 이들의 목소리에는 씩씩함과 즐거움이 묻어납니다옛 속담에 깨가 백 번 구르는 것보다 호박이 한 번 구르는 게 낫다지만싱겁게 한 번 구르는 호박보다 자잘하게 복닥대며 함께 굴러가는 깨알들의 행진 속에 우리 삶의 변화가 천천히 다가오고 있으리라 믿으니까요낯선 길험한 길일수록 손잡고 같이 굴러야 덜 외롭고 더 재밌지 않을까 기대도 됩니다 .

100호에 힘을 보태고 싶다며 기꺼이 원고를 주신 분들 덕분에 도톰한 민들레가 나왔습니다책을 만들며 제일 보람 있는 순간은민들레가 그냥 책이 아니라 서로의 삶을 연결해주는 다리 같은 존재임을 확인할 때입니다성긴 이야기를 촘촘한 삶으로 이어가시는 분들을 만날 때 민들레는 죽어 있는 활자가 아니라우리 곁에 살아 있는 친구가 되는 것 같습니다 .

앞으로는 더욱 함께 만드는 민들레가 되었으면 합니다교육에 대한 고민이나 관심사도 던져주시고좋은 글이 있으면 나눠주시고함께 하고픈 일이 있으시면 불러주세요혁명이 반드시 엄숙하고 비장해야 하는 것은 아닐 터좋은 친구들과 깨알처럼 구르며 깨소금도 볶으면서 서로를 살리는 배움의 길을 찾고 싶습니다.

 

20158월 장희숙



목차

 


표지 이야기 005 높지도 낮지도 않게

엮은이의 말 006 깨알들의 행진


기획 특집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_1

008 민들레와 교육운동 민들레 아흔아홉 권을 엮은 이들의 이야기

022 소비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실험공동체우동사 조정훈

031 이웃에게 배운다지혜공유협동조합 편집실

038 돌봄 공유지를 만드는 마을기업엄마친구네 권연순

050 제대로 된 엄마수업 인생수업품앗이 육아 안세정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_ 2

062 자연출산그 자연스러움과 평화로움 광주 독자모임

072 ‘오늘을 아이들과 함께 살기 이현주

079 세 아이 홈스쿨링각자의 인생을 열심히 살기 박미영

088 산책하며 놀며 배우며 정가람

096 놀이와 놀이터는 먼 데 있지 않다 편해문

 

단상 106 인성교육가능할까 장희숙

제언 114 좁쌀혁명깨알혁명을 위하여 현병호

논단 122 학교란 무엇인가 이종태

살며 배우며 134 코흘리개십 년이면 청년이 된다 바람개비

또 하나의 창 145 세월호와 메르스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김진우

잊을 수 없는세월 154 아픈 세월을 보듬으며 함께 살아가기 김순천

교사 일기 164 유성처럼 찾아온 아이들 성태숙

부모 일기 176 아이들을 위한 아빠의 통일 상상 정영수

소자보 184

풀뿌리사회지기학교 신입생 모집 대안교육연대 제도화 포럼 실상사작은학교·수지꿈학교·대전자유발도르프학교·대전자유발도르프 킨더가르텐·삼무곡어린이마을 신·편입생 모집 수원칠보산자유학교 중등과정 입학설명회 문탁네트워크 가을강좌 / 2015년 여름 우리말글 대안교육교사 강좌 연수 하남 꽃피는학교·초등 벼리학교· 꽃피는학교 옥천학사 중등과정·무등자유발도르프학교·광명YMCA 볍씨학교 교사 모집

182 새로 나온 책 186 입금자를 찾습니다 187 독자가 보내온 편지

189 전국 독자 모임 안내 190 100호 기념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을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