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서

[민들레 선집 1]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민들레 선집 1.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_대안교육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저자 김희동 외 
  • 발간일 2020년 3월 15일
  • ISBN  9788988613856 
  • 책값 12,000원


책소개


대안교육의 공과를 짚다

대안교육운동은 근대교육의 끝자락에서 지금까지 우리 교육이 가보지 않은 길을 열어가는 일이었습니다. 잘 모르는 곳을 갈 때는 표지판을 잘 살펴야 하지요. 대안교육은 ‘비보호 좌회전’ 표지판처럼 자율성을 그 생명으로 합니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만큼 자기 책임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용감하게 내딛은 이 걸음이 목적지를 제대로 향하고 있는지, 복잡한 교차로에서 엉뚱한 길로 접어든 건 아닌지 잘 살펴야 할 때인 듯합니다. 자율과 공생을 지향하는 대안교육이 지난 20여 년 동안 무엇을 잘했고 무엇을 놓쳤는지 그 공과를 짚어보고, 앞으로 교육의 변화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함께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이 책은 1, 2,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에서는 지난 20여 년의 대안교육운동을 돌아보며 그 공과를 짚고, 2부에서는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의 미래를 함께 생각해봅니다. 3부에는 교육의 3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들이 경험한 대안교육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본문 가운데


학교와 세상이 높은 담장으로 나뉘어 있는 것처럼 보여도 경쟁의 논리가 지배하는 근대학교는 사실상 온실이 아니다. 성적순으로 줄 세우고, 명문대 합격 플래카드를 거는 학교는 영업실적을 막대그래프로 그려 게시하는 보험회사를 닮았다. 세상의 논리에 충실한 학교에서 아이들은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늙는다. 애늙은이가 되는 것이다.

한편 대안학교들은 어떤 면에서 외부와 차단된 온실과 유사하다. 닫힌 온실은 식물 생장에 좋지 않다. 아이들에게 빨간약만 주면서 갈등과 선택의 여지를 없애는 것은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온실을 잘 관리하는 요령은 낮에는 문을 활짝 열어 바깥 공기를 쐬게 하는 것이다. 세상의 논리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동시에 세상을 향해 열려 있는 온실을 만들어야 한다. _현병호 <탈학교운동, 길은 사이에 있다>

“사이가 나빠지고 싶으면 공동육아나 대안학교를 같이 하라!” 강연에서 이 말을 하면 다들 박수를 치면서 웃는다. 이 쓰라린 말에 대해. 다들 뼈아픈 경험들이 있는 거다. 준비 모임까지는 그런대로 화기애애하지만 배움터가 세워지는 순간 이제 살얼음판이 시작된다. 왜 그제야 서로 민낯으로 대하게 될까. (…) 우리는 대안적인 교육현장에 맞는 의사결정구조를 만들지 못했다. 의료협동조합을 세우면 조합원은 다 의사 역할을 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그런데 교육협동조합에선 왜 다들 교사 역할을 하려 들고 최종 결정에 참여하려 하는가? 회의하는 방법과 의사결정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모든 사안에 미주알고주알 세세하게 공유해야 한다는 강박은 회의, 회의, 끝없는 회의를 낳는다.

모든 사안에 대해 모두가 동등하게 참여해야 한다는 이 하염없는 평등주의는 대안교육이 결국은 감정 소모에 지치고, ‘이상적으로’ 쇠퇴해가는 길에 기여하고 있다. 전문성이 살아날 길이 없는, 무책임함의 끝판왕이다. 의심과 불안에 기초한 이 회의만능주의는 믿고 맡기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믿고 맡겨보자. 맡기고 무관심한 것이 아니라, 공부를 해야 한다. _김희동 <회의 그만하고 공부합시다!>

 

[제규] 애들끼리 그런 얘기 많이 한다. “대안학교 애들은 다 개성 있게 똑같네.” 다 잘난 척 하고, 진보적이고, 개방적이고, 이것저것 해본 건 많은데 딱히 할 줄 아는 건 없고, 태평양처럼 넓고 접시물처럼 얕은 경험만 있는 거다. 그럼 도대체 학교의 역할을 뭘까? 내가 지금 농사를 배우고 있는데, 모종을 하우스에서 키울 때는 아침저녁으로 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온도를 조절한다. 근데 모종을 밖으로 내보낼 때가 되면 무조건 하우스 문을 열어놓고 차갑게 한다. 나가서 얼어죽지 않도록 추위에 적응시키는 거다. 학교도 아이들에게 그런 완충작용을 해줘야 한다.

[유진] 학교에서 70년대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이 시위 중에 똥물 세례를 받는 다큐를 보여준 적이 있다. ‘너희는 이런 것을 느껴야 돼’ 하는 강요된 메시지가 있었다. 하지만 순서상으로 뭔가 빠져 있었던 게 아닐까. 너희도 노동자의 삶을 살 것이고, 너희들의 삶이 저 삶과 연결될 수 있다는 얘기. 그런 거 없이 울분만 공유하는 상황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모든 배움을 내 삶으로 받아들이는 게 늘 힘들었던 거 같다. 무조건 그렇게 살아야 하는 게 아니라 이런저런 것들 중에서 내가 진짜 좋아서 그걸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_좌담 <아이들이 말하는 대안교육의 빛과 그림자>


저자 소개

김희동 _ 푸른숲학교와 꽃피는학교 교장을 지냈다. 지금은 통전교육연구소를 꾸리면서 고전 중심의 청소년학습공동체 ‘책숲삼백’과 다양한 공부모임을 이끌고 있다

양영희_ 29년 동안 초등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냈다. 공저 『혁신학교 보내도 될까요?』 『다시 혁신교육을 생각하다』 『교실에서 날아온 별똥별』 같은 책을 썼다.

양희규 _ 산청 간디청소년학교를 시작으로 금산간디학교, 간디어린이학교 등을 설립했다. 2011년 필리핀 두마게티에서 필리핀간디학교를 시작한 후 주로 필리핀에 머물고 있다.

양희창 _ 2012년까지 제천간디학교 교장으로 일하다, 지금은 필리핀에 아시아피스허브 및 아시아피스 칼리지를 준비하며 제주 지구마을평화센터 센터장으로 있다.

염병훈 _ 주류에서 소외된 청소년들이 즐겁게 배울 수 있게 돕는 일을 한다. 도시형 대안학교인 ‘광진도시속작은학교’를 거쳐 아름다운학교 교장으로 있다.

이병곤 _ 제천간디학교 교장, 건신대학원대학교 대안교육학과 겸임교수. 광명시 평생학습원 원장을 역임했고,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도 일했다.

이철국 _ 푸른꿈고등학교, 고양자유학교를 거쳐 지금은 불이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고 있다. 『아이는 당신과 함께 자란다』를 썼다.

하태욱 _ 건신대학원대학교 대안교육학과 교수. 대안교육운동과 함께 최근에는 공립 대안학교, 혁신교육, 미래교육, 마을교육공동체를 화두로 공교육 및 지역사회와도 만나고 있다.

한낱 _ 인권교육센터 ‘들’,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에서 ‘한낱’이라는 활동명으로 일했고, 현재는 ‘청소년 자립팸 이상한 나라’에서 함께 지내고 있다

현병호 _ 격월간 『민들레』 발행인. 『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를 썼다.


차례


엮은이의 말 _ 대안교육의 공과를 짚으며


1부 대안교육의 어제와 오늘

행복한 학교, 자유로운 교육이었나 | 양희창

대안교육 20년의 실천을 돌아보며 | 이철국

대안교육 현장의 교육철학 | 이병곤

양극화 사회, 대안교육은 대안이 되고 있는가 | 염병훈

대안 그 후, 남아 있는 사람들의 언어 찾기 | 한낱

탈학교운동, 길은 사이에 있다 | 현병호

대안교육 제도화의 흐름과 방향 | 하태욱

 

2부 대안교육의 진화를 위하여

혁신학교가 대안학교를 대체할 수 없는 이유 | 양영희

대안교육 100년을 내다보며 | 하태욱

대안학교, 위기와 재도약 사이에서 | 이병곤

대안교육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바라보며 | 현병호

대안학교의 진화를 상상하다 | 양희규

회의 그만하고 공부합시다! | 김희동

 

3부 교육 3주체가 말하는 대안교육

 아이들이 말하는 대안교육의 빛과 그늘

교사들이 말하는 대안교육의 빛과 그늘

부모들이 말하는 대안교육의 빛과 그늘

0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 47-15, 1층

민들레출판사 T. 02-322-1603  F. 02-6008-4399

E. mindle1603@gmail.com

공간민들레 T, 02-322-1318  F. 02-6442-1318

E. mindle00@gmail.com

Copyright 1998 민들레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