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서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 학교와 마을, 두 바퀴로 움직이는 학교공동체 이야기

  • 저자 강영택 씀 
  • 발간일 2017년 9월 17일 
  • ISBN 978-89-88613-68-9(03370) 
  • 책값 14,000원


학교와 마을이라는 두 바퀴를 연결하기


학교와 마을은 자전거의 두 바퀴와 같다두 바퀴가 보조를 맞춰 굴러가게 하는 것은

프레임이다이 책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마을학교공동체의 성격을 결정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살펴보면서 학교를 넘어선 교육모델을 제시한다.

 

공동체는 사람들의 염원을 담은 이상으로 존재하지만,

그 염원이 우리의 삶의 현장에까지 내려와 우리 사회와 개인들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이 책에 소개된

학교들은 학교와 마을을 잇는 공동체를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의

끈질긴 노력을 보여준다._ 맺음말 가운데

 

추천사_이재정(경기도 교육감)

 

교육은 눈앞의 파도를 보는 것이 아니라 파도를 몰고 오는 먼발치의 바람을 보는 것입니다.

우리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주도적으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기존의 틀을 깨는 과감한

미래 교육이 필요합니다저자는 이 책에서 학교와 마을이 함께 나서는 마을교육공동체야말로

미래 교육의 흐름을 이끌고 시대의 변화를 주도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용 소개


이 책은 1, 2부로 구성되어 있다1부에서는 학교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다룬다11장에서는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라는 주제를 선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공동체와 마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에도 여전히 대다수 학교들은 전통적인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깔려 있다2장에서는 이 책에 등장하는 중요한 용어들인 공동체교육공동체학교공동체마을교육공동체그리고 마을학교공동체의 개념을 정리하고3장에서는 학교공동체의 사상적 토대가 될 수 있는 네 사람의 사상과 실천을 고찰한다덴마크의 사상가 그룬트비와 한국 오산학교를 설립한 이승훈풀무학교 교장 홍순명그리고 미국의 파커 파머다.

덴마크의 그룬트비를 집중적으로 다룬 이유는 그가 학교교육을 통해 사회를 성공적으로 변화시킨 인물이란 점 외에도 일찍이 그가 우리나라의 마을학교공동체 운동에 끼친 영향을 고려했기 때문이다20세기 초 오산학교를 설립한 남강 이승훈은 실제로 학교를 중심으로 한 이상적인 마을공동체를 꿈꾸고 실천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풀무학교 교장 홍순명은 우리나라에서 학교공동체와 마을을 통합시킨 대표적인 인물로풀무학교의 성공적 실천에는 마을학교공동체에 대한 그의 깊은 철학이 기반하고 있다마지막으로 파커 파머를 다룬 것은 공동체에 대한 그의 깊은 생각이 많은 교육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영성과 공동체를 추구하는 교육에 대한 파머의 이해는 건강한 학교공동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토대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4장에서는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와 협력의 배경목적내용형태에 대해 살펴본다2부에서 소개하는 학교 사례들을 분석하는 틀이 여기서 제시된다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의 내용과 형태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일곱 가지로 정리해서 제시한다그리고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협력의 내용을 네 가지로 유형화한다. ‘지역사회의 교육·문화 중심센터로서의 학교’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의 토대로서의 학교’ ‘학교를 위한 인적·물적 자원 공급처로서의 지역사회’ ‘학교 교육과정으로서의 지역사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2부에서 사례 학교들을 분석하고 있다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관계에서 어느 쪽이 주도권을 갖는지에 따라 학교 주도 협력 모형지역사회 주도 협력 모형상호융합 모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2부에서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긴밀하게 연계된 마을학교공동체 사례들을 소개한다사례 학교들은 단위 학교 여섯 개와 일본과 미국에서 커뮤니티 스쿨 제도에 입각한 두 학교이다이중에서 우리나라 학교 사례는 다섯 학교이고외국 학교 사례는 세 학교이다.


저자 강영택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국어교사로 십여 년 근무하며 문학교육을 통해 삶의 진실과 아름다움을 학생들과 함께 탐구하고자 했다하지만 열망과는 달리 시험문제로 학생들을 협박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극복하지 못하고 사직서를 낸 뒤 삼십대 후반 에 미국유학을 떠났다. 7년간의 유학 시절 동안 신앙()과 교육()과 씨름하면서 미국 사회와 학교의 빛과 그림자를 경험하며 한국 사회와 학교를 전망하는 기회를 가졌다미시간주립대학에서 학교 공동체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 후 우석대학교에서 사범대 학생들에게 교육학을 가르치며 학교공동체기독교 (대안)학교학교와 마을의 협력 등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저서로는 『고통의 교육에서 희망의 교육으로』와 『공교육과 기독교』(공저), 『기독교학교의 공공성』(공저외 다수가 있다.


 

차례

 

머리말_마을 속의 학교학교 속의 마을 5

 

I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란

 

1왜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인가

1. 공동체와 마을에 대한 높은 관심 ······························································ 17

2. 외로운 학교, 고립된 마을 ················································································ 20

3. 공동체와 마을을 강조하는 교육정책들 ················································ 23

4. 교육생태계의 복원 ································································································· 25

 

2교육학교마을공동체

1. 학교에 대한 두 가지 이해 ················································································· 27

2. 공동체 ······························································································································· 30

3. 교육공동체 ···················································································································· 33

4. 학교공동체 ···················································································································· 37

5. 마을학교공동체 ········································································································ 40

6. 마을교육공동체 ········································································································ 43


3장. 학교공동체의 사상적 토대

1. 그룬트비_삶을 위한 교육의 주춧돌을 놓다 ······································ 48

2. 이승훈_마을학교공동체의 꿈을 이 땅에 심다 ································· 65

3. 홍순명_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에 헌신하다 ··································· 80

4. 파커 파머_영성과 공동체를 살리는 교육을 실천하다 ····························· 96


4장.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과 상생

1. 협력의 배경과 목적 ····························································································· 118

2. 협력의 내용과 형태에 대한 이해 ······························································ 123

   1)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전통적 방법

   2) 활동의 초점에 따른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3) 세 가지 교육제도와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4) 농촌지역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의 내용과 방안

   5) 관계의 성숙도에 따른 협력 양상의 변화

   6) 평생학습이론에 따른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활동

   7)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네 범주

3.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형태 ··································································· 135

    1) 지역사회의 교육문화센터로서의 학교

    2) 교육자원 공급처로서의 지역사회

    3) 지역사회 발전의 토대가 되는 학교

    4) 교육과정으로서의 지역사회

4.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모형 ·································································· 147

   1) 학교 주도 협력 모형

   2) 지역사회 주도 협력 모형

   3) 상호융합 모형

5장. 홍동중학교 ········································································································· 155

6장. 이성초등학교 ···································································································· 169

7장. 의정부여자중학교 ························································································· 183

8장. 민들레학교 ·········································································································· 199



II학교공동체의 다양한 모습들

5장. 홍동중학교 ········································································································· 155

6장. 이성초등학교 ···································································································· 169

7장. 의정부여자중학교 ························································································· 183

8장. 민들레학교 ·········································································································· 199

9장. 풀무학교 ················································································································ 216

10장. 알바니 프리스쿨 ·························································································· 234

11장. 미국의 커뮤니티 스쿨 ············································································· 252

12장. 일본의 커뮤니티 스쿨 ············································································· 267

13장. 비교분석 ············································································································· 285

14장. 맺음말_함께 만들어가는 마을학교공동체를 꿈꾸며 ····· 311

참고문헌 ··························································································································· 318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 47-15, 1층

민들레출판사 T. 02-322-1603  F. 02-6008-4399

E. mindle1603@gmail.com

공간민들레 T, 02-322-1318  F. 02-6442-1318

E. mindle00@gmail.com

Copyright 1998 민들레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