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문서교육과 사회게층이동 조사 연구(III) : 교육계층화와 사회이동 추이 분석

민들레
2011-02-22
조회수 15253
<차 례>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가. 연구의 필요성 3
나. 연구의 목적 6
2. 전체 연구 내용 9
가. 조사 자료의 구축 9
나. ‘출신계층 → 교육 → 도달계층’ 분석 12
3. 1, 2차년도 연구 진행 상황 15
가. 조사 자료 구축 15
나. 연구 내용 17
4. 3차년도 연구 내용 17
가. 교육 기회 확대와 직업 구조 변동 18
나. 2010 교육과 사회 이동 조사 18
다. 통합 자료 구축 21
라. 분석 모형의 설정과 교육과 사회이동 분석 21
5. 응답자 특성과 주요 변인의 측정 23
가. 응답자 특성 23
나. 주요 변인의 측정 24

Ⅱ. 이론적 배경 29
1. 교육 기회 확대와 교육계층화 31
가. 교육 기회 확대 설명 가설 31
나. 교육 기회 확대 관련 연구 33
다. 교육계층화 가설 34
라. 교육계층화 분석 방법 37
2. 사회이동 연구의 전개 과정 41
가. 2세대 연구의 확장 42
나. 3세대 연구: FJH 가설의 검증을 중심으로 44
다. 4세대 사회이동 연구 46
라. 교육과 사회이동 최근 연구 동향 50

Ⅲ. 한국의 교육 기회 확대와 직업구조 변동 53
1. 교육 기회 확대와 직업구조 변동: 국제 비교 55
2. 교육 기회 확대와 직업구조 변동 추이 63
가. 해방 이후 교육 기회 확대 추이 63
나. 교육 기회 확대의 한국적 특징 67
다. 직업구조 변동 추이 69
라. 사회이동에 대한 시사점 78

Ⅳ. 교육계층화의 변화 양상 81
1. 선행 연구 검토 85
2. 분석 방법 87
3. 개인 특성, 출신배경과 교육 기회 획득 89
가. 중학교 진학 90
나. 고등학교 진학 93
다. 대학 진학 99
라. 대학원 진학 104
4. 교육성취 및 상급 학교 진학 분석 107
가. 교육 성취에 대한 OLS 회귀분석 107
나. 상급 학교 진학 요인 분석(로짓분석) 109
5. 소결 121

Ⅴ. 직업지위와 소득에 대한 영향 요인 127
1. 선행 연구 검토 129
2. 분석 방법 132
3. 응답자 특성별 직업지위와 현직 소득 133
4. 직업지위 획득 영향 요인 분석 138
가. 응답자의 초직지위 획득 138
나. 응답자의 현직지위 획득 146
5. 직업지위 획득 과정 분석 155
가. 지위 획득 기본 모형 156
다. 확장 모형 165
6. 현직 소득에 대한 출신배경과 교육의 영향력 175
가. 1943-55년 출생집단의 소득 결정 요인 분석 176
나. 1956-65년 출생집단의 소득 결정 요인 분석 178
다. 1966-75년 출생집단의 소득 결정 요인 분석 179
7. 소결 181

Ⅵ. 계급 이동의 변화 추이 187
1. 선행 연구 검토 189
2. 분석 방법 192
3. 이동표 분석 197
가. 세대 간 계급 유출입 구조 197
나. 출생집단 삼원이동표에 대한 대수선형 분석 203
다. 이원이동표에 대한 대수선형 분석 207
라. 교육수준 삼원이동표에 대한 대수선형 분석 217
4. 출신계급과 교육수준, 교육수준과 현직 계급 234
5. 농민층의 분해 양상 244
6. 소 결 247

Ⅶ. 결론 및 제언 251
1. 결론 253
가. 교육계층화의 변화 양상 253
나. 직업지위와 소득에 대한 영향 요인 255
다. 계급 이동 변화 추이 258
라. 논의 261
마. 연구의 한계 263
2. 제언 264

참 고 문 헌 267
ABSTRACT 281

부 록 287
[부록 1] ‘2010 교육과 사회 이동 조사’ 설문지 289
[부록 2] ‘2008, 2009, 2010 교육과 사회 이동 조사’ 주요 결과 324

※ 원문 파일은 현재 수정, 보완 중입니다.



-한국교육개발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