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 도서

1998년, 경쟁과 입시교육으로 치닫던 한국의 교육에 새로운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 문을 연 민들레출판사는 ‘스스로 서서 서로를 살리는 교육’을 가치로 출판과 교육,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998년 11월, 탈학교 논쟁을 본격적으로 일으킨 <학교를 넘어서>를 시작으로 인문사회 교육 분야의 단행본을 꾸준히 내고 있으며, 1999년 1월부터는 대안적인 교육 담론과 실천을 담아내는 격월간 <민들레>를 두 달에 한 번 펴내고 있습니다.


사회의 변화와 교육의 흐름을 읽으며 뜻을 함께하는 이들이 손을 잡고 실천을 넓힐 수 있도록 돕는 것, 우리가 가고자 하는 길에 중심을 잃지 않도록 서로 격려하고 조언하는 것이 긴 세월 동안 민들레가 책을 만드는 목적입니다.


민들레는 몇몇 ‘교육 전문가’들이 아니라, 아이를 정말 행복하게 키우고 싶은 부모들과 교육에 열정을 잃지 않는 교사들,

그리고 자기에게 맞는 배움의 길을 찾는 아이들이 함께 어울리면서 서로 힘을 주고받는 열린 마당입니다.

삶의 힘을 키우는 오디세이학교

삶의 힘을 키우는 오디세이학교_열일곱 살을 위한 인생학교 이야기

  • 저자 정병오 김경옥 엮음 / 오디세이학교 수료생, 재학생, 길잡이교사 함께 씀
  • 발간일 2020년 10월 15일 
  • ISBN 9788988613924  
  • 책값 16,000원


책소개


열일곱이렇게 살아도 괜찮을까?

 5년 전서울시교육청과 민간 대안교육기관의 협업으로 오디세이학교가 문을 열었다일반 고등학교에 적을 둔 고학생이 서울시 내 대안교육기관에서 일 년 동안 지내면 학력을 인정받아 2학년으로 진급할 수 있는 갭이어(Gap Year) 과정이다한창 입시를 준비해야 할 시기에 이런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하지만 불안과 긴장 속에 앞만 보고 질주하던 열일곱 살 아이들은 쉬어 가도 괜찮아옆을 봐도 괜찮아라고 말하는 이곳에서 보낸 일 년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삶의 방향을 찾는 선물 같은 시간이었다고 말한다.

  

공교육과 대안교육이 만나 배움의 새로운 장을 열다

 대안학교는 문제아들만 가는 곳일까학교를 그만두어야만 대안교육을 경험할 수 있을까이런 편견과 한계를 깨고 오디세이학교는 처음부터 파격적인 시도를 감행했다서울시교육청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그 안에 오랜 시간 내공을 쌓아온 대안교육기관들의 운영 노하우와 교육과정을 접목시켜 민관협치의 새로운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책 말미에 실린오디세이학교를 준비해온 이들이 나눈 특별좌담은 시스템을 넘어서는 성공적인 민관협력의 요건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20여 년 동안 학교 밖 청소년들과 함께 대안적인 교육을 추구해온 공간민들레꿈틀학교하자센터가 민간협력기관으로 함께하고 있고, 2018년부터는 공교육 교사들이 따로 팀을 꾸려 또 하나의 현장을 꾸리고 있다오디세이학교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교육철학민주적인 문화까지 적극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공교육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교육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공교육에서 갈증을 느끼던 한 교사는 이곳에서는 자신이 더 이상 이상한 교사가 아니라며 오랜 갈증이 해갈되었음을 고백한다.

 


본문 가운데


생기로 반짝거린 나날들

 오디세이학교가 나에게 준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은 친구들과 함께한 추억이다아침에 일어나서 오늘은 애들이랑 뭐하고 놀지?’ 생각하면서 학교에 가고밤에는 내일 애들이랑 뭐하고 놀지?’ 하면서 잠들었던 것 같다나한테는 학교에서 배우는 것들이 놀이처럼 느껴져서인지예전에는 월요병을 달고 살았는데 오디세이학교를 다닐 때는 학교에 가는 게 부담되거나 싫었던 적이 한 번도 없었다내가 오디세이학교에 대한 글을 쓴다고 하니 엄마는 그때를 회상하며 네 표정이 참 밝아졌지라고 하셨다내가 생각해도 가장 큰 변화는 역시 표정이 밝아진 게 아닐까 싶다. _조규원

 

조금 천천히 가도 괜찮아

오디세이에서 배운 것처럼 나의 속도대로 살고 싶다남들이 다 뛰어갈지라도 나는 뛰다가걷다가멈추었다 다시 뛰기를 반복하면서 이렇게 천천히 나아가도 충분히 잘 살아갈 수 있다고나 같은 청소년들에게 알려주고 싶다쉬어가면서 걸어도그리고 혹 길을 잘못 들었다면 다시 돌아가도 괜찮다고삶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 중요하니까 말이다. _김재인

 

나는 더 이상 이상한 교사가 아니다

 나를 비롯한 오디세이학교의 구성원들에게서 발견한 공통점이 하나 있기는 하다그것은 모두가 의미를 찾고 있다는 점이다내가 경험한 오디세이는 학생도 교사도 스스럼없이 ?”를 묻는 학교였다이것을 왜 하는지 혹은 왜 하지 않아야 하는지학교를 왜 다니는지왜 공부하는지…의미에 목마른 이들의 학교에는 질문과 대화가 끊이지 않는다더 이상 시험 때문에’, ‘남들도 하니까’ 같은 이유로 배우거나 가르치기를 멈추고서로에게 그리고 스스로에게 의미를 묻는 일이 이곳에서는 지극히 자연스럽다그리고 정답 없는 질문의 해답을 고민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들 속에서나는 더 이상 이상한 사람이 아니다. _송동철



글쓴이

오디세이학교 수료생과 재학생 7, 3명의 교사가 저마다 경험한 오디세이에서의 배움과 성장 모았다초기 TF 활동부터 함께해온 교사 2명이 오디세이학교의 역사와 의미비전교육과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다그리고 특별좌담에서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을 비롯해 오디세이학교 산파 역할을 맡았던 사람들이 오디세이학교의 성공 요인과 앞으로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가세운 오디세이꿈틀 2서울대 식품영양학과 재학 중.

김재인 오디세이하자 3미국에서 고등학교 재학 중.

박진슬 오디세이하자 2학교 밖에서 진로 모색 중.

이주은 오디세이혁신파크 3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

조규원 오디세이꿈틀 1명지전문대 청소년교육복지과 재학 중.

조민형 오디세이민들레 4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

정서현 오디세이꿈틀 2동덕여대 문헌정보학과 재학 중.

 김경옥 공간민들레 대표오디세이학교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김희숙 오디세이민들레 길잡이교사.

서명희 한남대 교수오디세이민들레에서 말과 글을 가르쳤다.

송동철 오디세이학교에서 2년째 함께하고 있는 공교육 교사.

이충한 하자센터 기획부장오디세이학교 TF에서 활동했다.

정병오 공교육 교사오디세이학교 교육기획부장을 맡고 있다.



목 차


추천사 _ 아이들에게 생기를 되찾아줍시다 • 5

 

1일 년의 모험을 마치고

생기로 반짝거린 나날들 •13

인생은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다 • 23

인생을 공부하기에 최적화된 공간 • 30

나는 오디세이학교에서 진로를 찾았을까 • 41

주체적으로 산다는 것 • 50

나는 부적응을 선택했다 • 58

조금 천천히 가도 괜찮아 •71

 

2아이들과 함께 성장하기

나는 더 이상 이상한 교사가 아니다 • 85

왜 교사가 아니고 길잡이인가 • 109

교육은 팀플레이다 •118

오디세이학교에서 배운 것들 • 131

 

3공교육과 대안교육이 만나다

오디세이학교가 생겨나기까지 • 153

오디세이학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174

시민을 기르는 교육 오디세이학교의 교육과정 • 204

 

특별좌담 오디세이학교를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

정책을 넘어 교육의 변화를 이끌어내려면 • 255